크게 독서를 독서 전, 독서 중, 독서 후로 구분해서 생각

 

독서 전 독서 : 책의 전체상을 머릿속에 그리며 이해

 

표지 -> 저자 -> 머리말

 

1. 표지

1> 제목에 대해 질문하기(눈으로 볼 수 있도록 쓰기)

2> 무지함과 마주하기(자신이 던진 질문에 알고 있는지 체크) - 아는 것과 모르는 것 구분, 호기심키우기

3> 표지에서 답 추론하기 카피와 문구 등으로 책의 핵심 내용 살펴보기

 

2. 저자

행동심리학 연구자와 아들러심리학 연구자는 주제나 내용이 다르며, 전문가가 아닌 심리학 책은 또 다르다. 저자의 사상, 경험, 지혜, 지식을 살펴보기

 

3. 머리말 = 한 장짜리 기획서 건축설계도와 같다.

예상 독자 : 누구를 위해 썻는가?

배경 :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주제 : 이 책을 한마디로 하면?

주장 :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은?

기타내용 : 책의 구성, 읽는 방법 등

 

독서 중 독서 : 책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며 독서

 

목차 -> 내용 -> 정리

 

1. 목차

1> 목차가 구성되는 원리 : 질문 -> 항목(각색) -> 목차

필자가 궁금한 질문과 독자가 알았으면 하는 질문 -> 질문을 항목으로 만들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내용으로 각색 -> 장과 절을 분류하여 목차로

2> 목차를 기억하는 방법 : 목차의 내용을 스토리로

 

2. 내용

1> 핵심을 파악하는 방법 : 목차가 어떤 질문에서 만들어졌는지 생각. 핵심 질문과 답을 찾기 위한 내용을 대응시켜, 검색하듯 찾기

2> 검색하듯이 내용을 찾자

3> 맵핑하듯이 정리하자 : 독서 내용을 마인드 맵으로 정리

 

3. 정리 : 여백에 자신의 생각을 정리

 

독서 후 독서 : 책의 내용과 생각을 정리하는 마지막 단계

 

1. 한 페이지로 정리하기

 

한 페이지로 정리, 몰랐던 내용을 기록해서 자산으로 만들기

책을 읽게 된 동기, 도서정보, 책 내용(줄거리), 인상 깊은 구절,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이나 느낌 등으로 구성

 

크게 2가지 활동, 서평과 독후감 작성. 독후감은 주관적인 느낌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개인적인 글이며, 서평은 이러한 감상을 객관화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공론화

 

2. 독서모임에 참여하기

 

3. 독서리스트 작성하기

장르, 제목, 저자, 시작일, 완료일 기록

 

블로그 이미지

Student9725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