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과 꿈은 다릅니다.

동경은 자기혐오에서, 꿈은 자애에서 나옵니다.

 

동경이란?

1. 이상적으로 여기는 사물과 인물에 마음이 강하게 끌리다. 몹시 그리워하다.
2. 마음을 졸이다. 애태우다. 안절부절못하게 되다.
3. 있는 곳을 떠나 비트적비트적 방황하다. 떠돌아다니다.

 

혼이 원래 있어야 할 장소를 떠나 비트적비트적 방황하고 있으니까 안절부절 못하는 것입니다. 나 자신이 아닌 곳에 혼이 있으면 망연자실하고, 이게 동경입니다.

 

'행복'을 손에 넣으려고 하면 혼이 동경하고 만다.
뭔가를 강하게 동경한다면 자기혐오에 속박되어 있다는 뜻이다.
'나는 나쁜 아이다'라는 믿음을 강요당하는 것이 자기혐오다.
자기혐오는 타인(부모와 교사 등)에게서 강요당한 것이다.
자기혐오를 품고 있는 한 실패한다.
'나는 나쁘지 않다'면서 자신을 타이르고 자기혐오를 억제하는 것은 역효과를 낸다.
자신이 왜 자신을 싫어하는지 그 원인을 잘 생각해라.
자기 혐오는 자기 감각을 부정하기 때문에 어떤 감각이 작동하지 않게 되고 맹점이 된다.
자기혐오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친구에게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
친구에게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때 비로소 자기혐오를 극복할 수 있다.
당신을 조작하고 이용하는 사람은 당신의 자기혐오를 이용한다.
당신이 자기혐오를 극복하려고 할 때 격노해서 방해하는 사람은 당신을 이용하는 사람이다.
자기혐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친구와 함께 용기가 필요하다.
자기혐오는 태도다.
그 태도를 고치면 자기혐오는 흔적도 없이 산산이 흩어져 사라진다.
자기혐오를 극복하고 자신을 사랑하면 성장한다.
자기혐오야말로 파괴와 파멸과 실패와 불안과 공포의 원인이다.
겉으로 보이는 자신을 위해 무엇이든지 하는 자는 이기주의자 혹은 이타주의자가 된다.
이기주의자는 겉으로 보이는 자신의 물질적 이익을 획득하느라 바빠 세간의 평판을 돌아보지 않는 사람이다.
이타주의자는 겉으로 보이는 자신의 세간의 평판을 획득하느라 바빠 물질적 이익을 돌아보지 않는 사람이다.
변변치 못한 자는 남에게 보이기 위한 자신의 세간의 평판을 획득하는 데도 물질적 이익을 획득하는 데도 실패한 사람이다.
잘난 체하는 사람은 자신의 변변치 않음을 받아들일 수 없는 변변치 못한 자다.

 

블로그 이미지

Student9725

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들

,